본문 바로가기

리뷰/일상정보

겨울철 블랙아이스, 도로 결빙 현상 사고 예방법. 겨울철 차량 관리 방법

오늘은 겨울철 블랙아이스, 도로 결빙 현상에 따른 사고 예방법과 겨울철 차량 관리 방법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강수량이 많은 여름에도 차량 관리를 꼼꼼하게 해야 하지만 기온이 낮아지면 챙겨야 할 항목이 늘어납니다. 겨울철 차량 관리 방법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블랙아이스는 대개 눈이 오고 난 후에 발생합니다.

 

 

겨울철 블랙아이스(도로 결빙 현상)란?

블랙아이스란 낮 동안에 내린 눈이나 비가 도로 틈새에 스며 들었다가, 밤사이 도로의 기름이나 머지 등과 섞여 도로 위에 얇게 얼어붙은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때 얼음이 얇고 투명하므로 도로의 검은 아스팔트 색이 그대로 비쳐 보여 검은색 얼음이란 뜻으로 블랙아이스라고 불립니다.

 

 

 

블랙아이스가 발생하면 순간적으로 자동차가 미끄러지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하기 힘들어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증가합니다. 블랙아이스는 대개 눈이 오고 난 후, 터널 출입구, 그늘진 산모퉁이, 다리가 접해지는 교각 지점 등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블랙아이스 사고 예방 방법

겨울용 타이어는 사계절용 보다 제동거리가 14% 짧고, 차량 제어가 수월하므로 겨울철에는 기본적으로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해야 합니다. 이는 겨울철 기본적인 사오 예방 방법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겨울용 타이어 또한 안 미끄러지는 것은 아니므로 영하의 날씨에서는 주행 속도를 줄이는 것이 사고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블랙아이스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출퇴근 시간에는 평소보다 더 유심히 전방 시야를 확인하고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더욱이 신경써야 합니다.

 

 

타이어는 운행 전에 공기압과 타이어 마모도를 점검해야 합니다.

 

 

겨울철 차량 관리 방법

겨울철 교통사고를 줄이거나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차량 점검이 필요합니다.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체크해야 하는지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 타이어 

타이어는 제동에서 중요한 장치입니다. 운행 전에 공기압과 타이어 마모도를 점검해야 합니다. 만약 폭설이 예상되는 날이면 스노우 타이어로 미리 교체를 해둬야 합니다.

 

 

 

2. 배터리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게 되면 배터리의 성능이 40% 정도 저하됩니다. 또한 장기간 주차 시 내비게이션과 블랙 박스가 방전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합니다.

 

 

 

3. 냉각수

냉각수 관리 시 양이 부족하지 않은지 확인하고 주정차 시 자동차 바닥에 누수의 흔적이 있는지 체크합니다. 냉각수의 수명은 2-3년(약 40,000km)이므로 주기적으로 점검 후 교체를 해줘야 합니다.

 

 

 

4. 제동장치

제동장치의 브레이크 오일 상태와 패드의 마모 상태를 중심으로 점검해야 하는데요. 만약 제동 시 브레이크 페달이 깊게 밟히거나 밀린다면 제동장치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정비소에 방문해 정비를 마쳐야 합니다.

 

 

 

5. 등화장치

미등, 브레이크등, 차폭등, 전조등, 안개등 작동을 수시로 점검합니다. 또 비상 시에 대비해 여분을 미리 준비해두면 좋습니다.

 

 

 

겨울철에는 낮은 기온으로 인해 도로 상황이나 날씨 등에 따라 사고 발행 위험이 더욱 증가합니다. 위와 같은 항목들을 미리미리 점검해두어 주기적인 차량 관리를 통해 사고 위험을 줄이도록 해야 합니다.

 

 

이상  겨울철 블랙아이스, 도로 결빙 현상에 따른 사고 예방법과 겨울철 차량 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